숙종 시대 문명의 도전과 지식의 전환
  • 저자 김선희
  • 발행일 2022-03-10
  • 판형 신국판
  • 쪽수 200쪽
  • ISBN 979-11-5866-680-4, 94910
  • 정가 14,000원
  • 분류 AKS총서  >  장서각 한국사 강의
    역사  >  한국사
  • 구입처 e-book 교보문고 예스24  

도서 소개

숙종은 궁궐 안에 이미 멸망한 명(明)을 기리는 제단인 대보단(大報壇)을 설치함으로써 문명의 유일한 계승자라는 신호를 발신한다. 이는 조선 내부에서 경쟁하고 갈등하는 정치 세력을 향했고, 조선 내에서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문명의 유일성을 강조하는 이 신호가 조선 왕실과 지배층에 재귀적으로 수렴되었다면, 중국을 거쳐 조선에 유입된 서양의 지식과 기술은 새로운 문명이 발산하는 신호였다. 숙종 대는 존주대의(尊周大義) 혹은 대명의리론(大明義理論)으로 대표되는 문명의 유일성이 조선 내부의 정치적·지적 실천을 강력히 규제하던 이념의 시대지만 동시에 예수회 선교사로부터 수혈된 새로운 지식, 서학(西學)으로 인해 중국 이외에 복수(複數)의 문명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경험하기 시작한 분기점이기도 하다. 조선 후기의 지적 폭발은 단속적이거나 일회적인 사건이 아니라 지난 시대부터 축적된 지적 에너지와 긴장이 개별적인 계기 혹은 인물을 만나 응집되고 발화된 결과이다. 이런 맥락에서 숙종 재위기의 조선을 읽는 경로를 입체적인 각도에서 새롭게 설정하는 것은 조선 후기 학풍의 변화를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이 책은 중화(中華)라는 단일한 문명의 이념과 서학이라는 새로운 문명의 자원이 동시에 작동하던 숙종 대 조선의 문화적·정치적·지적 도전의 과정을 다면적으로 살폈다.

저자 소개

김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동서비교철학·한국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서비교철학의 관점에서 16세기 이후 중국에서 이루어진 동서양의 지적 조우와 변용 및 당대 유럽에서 이루어진 역방향의 지적 전환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익, 정약용, 최한기 등 조선 유학자들의 철학적 도전을 다각도에서 검토하고 있다. 『서학, 조선 유학이 만난 낯선 거울』, 『실實, 세계를 만들다』, 『마테오 리치와 주희, 그리고 정약용』 등의 연구서와 『하빈 신후담의 돈와서학변』 등의 역서, 『나를 공부할 시간』, 『8개의 철학 지도』 같은 교양서를 썼다.

목차

1장 들어가며

2장 숙종 시대 동아시아 문명권의 변화

  1. 인간 이순과 국왕 숙종 그리고 조선

  2. 강희제 시대의 동아시아 재편

  3. 숙종 시대의 대일 관계 변화

3장 변곡점의 조선과 전환기의 자기 인식

  1. 예송과 숙종 대 지식 권력의 향배

  2. 중화와 왕권 그리고 문명

4장 숙종 시대 지적 분화의 맥락들

  1. 예수회의 동양 전교와 서학의 조선 전래

  2. 연행을 통한 서양과의 접촉

  3. 서학서와 자명종, 새로운 지식의 통로

5장 나가며

서평 및 출판사 리뷰

By building the Altar of the Great Requital (Dabodan) in the palace to remember and honor the fallen Ming dynasty, King Sukjong signaled to other countries that Joseon was the sole inheritor of Chinese civilization. The signal, however, actually targeted rivalling political factions in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its purpose was to establish the justification of the sovereignty of the king within the country. This signal of being the sole inheritor was, in turn, incorporated into the belief system of the royalty and the upper class, but it also indicated the burgeoning of new ideas and technology from the West which had made their way to Joseon through China. During King Sukjong’s reign, the court of Joseon was politically and intellectually dominated by the idea of the Great Righteousness of Respecting China or the Righteousness of Respecting the Great Ming, an idea which was considered the sole valid belief. At the time, Joseon was at a crossroads as the country was discovering the existence of other cultures, with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the West introduced by Jesuit priests. The intellectual curiosity which exploded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as not a singular or isolated event but the result of accumulated energy and intellectual tension which was formulated and developed by a certain figure or through a certain event. This examination of the country during King Sukjong’s reign through a fuller or a different context will provide an important foundation in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the intellectual changes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This book introduces cultural, political, and intellectual challenges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when the ideology of being the sole inheritor of Chinese culture and tradition was staunchly believed, while the new culture of the West was also being introduced.  

 

 

독자리뷰 (0)

등록
숙종 시대 문명의 도전과 지식의 전환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