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사회적 가치 인식 연구
한국인의 호혜성과 협동성에 대한 심리적 경향 탐색
근대화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은 전 세계 어느 국가에도 견줄 수 없는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비정상적일 정도로 압축적인 경제 성장의 이면에는 언제나 그늘이 존재한다. 삶의 의미 상실, 경제 불황, 환경 위기 같은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쌓여가는 와중에, ‘더 좋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동력으로 호혜와 협동이 제시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인은 호혜와 협동을 어떻게 느끼고 실천하고 있을까? 이 책은 2018년부터 3개년에 걸쳐 수행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다양한 통계기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서로, 해당 조사는 현재까지도 매년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신뢰, 기부, 이웃, 연대 등을 키워드로 문항을 개발했고, 개인의 사회경제적·인구학적 조건에 따라 그 인식과 실천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 수 있다. 호혜와 협동에 대한 우리 사회의 주관적 태도와 심리적 경향을 파악하는 것은 그동안 학계에서 좀처럼 시도되지 않았지만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통해 호혜와 협동을 낳는 미시적 메커니즘을 도출함으로써 지속 가능하고 정의로운 사회경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한도현. 사회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임채윤. 사회학 전공,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 사회학과 교수
임동균. 사회학 전공,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제1부 호혜와 협동의 사회심리학
1장 신뢰의 반경, 호혜의 규범과 실천
2장 호혜와 협동의 감정 사회학
3장 냉소의 시대의 호혜와 협동
제2부 호혜와 협동의 관계적 기반
4장 1인가구 사회에서의 호혜와 협동
5장 한국인의 동네와 이웃
6장 일상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연대
부록: 조사설문지(2018, 2019, 2020)
1. 21세기 한국인의 사회의식과 일상생활에 관한 조사
2. 한국인의 신뢰와 경제적 의사결정에 대한 조사
3. 현대인들의 사회의식과 일상생활에 관한 조사
4. 현대인들의 사회의식과 일상생활에 관한 조사
5.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협동조합 종사자의 사회의식 조사
6. 현대인들의 사회의식과 일상생활에 관한 조사
7. 서울시민의 이웃 및 지역사회 인식과 사회적 태도에 대한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