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기초연구 / 연구·교육 연계과제 | ||
---|---|---|---|
과제코드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이종철 | ||
공동연구자 | |||
연구기간 | 20220901 ~ 20230228 | 연구형태 | 단독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본 연구는 2022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철학 전공에서 2학기 과목으로 개설한 <한역불전 언어연구(2)>의 연구교육 연계 사업으로 기획되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원측의 《해심밀경소》를 토대로 《深密解脫經-聖者廣惠菩薩問品》, 《解深密經-心意識相品》 두 한역불전과 티벳어 번역, 그리고 몽골어번역, vyākhyā를 대조하면서, 보리류지와 현장의 어법과 사상의 특징을 파악. - 한역불전의 텍스트 분석과 교정 과정을 보여줌. -보리류지와 현장의 한역어와 통일신라시대의 불교문헌의 어법의 유사성 도출.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해심밀경소_심의식상품(+vyaakhyaa) 교정본 -해심밀경소 <심의식상품>의 인용출전표 -현장과 보리류지 번역어 비교표 |
||
연구결과 | -현장의 한역(漢譯) 중 대부분의 전문술어는 보리류지의 번역어와 일치한다. 그렇지만 《深密解脫經》의 대장경 판본은 송나라 개보장 판각 과정에서 아무런 수정보완이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다른 品에 비해 조악하기 그지 없고, 따라서 대교작업에 활용할 때 많은 주의를 요한다. 원측도 보리류지의 번역 《深密解脫經-聖者廣惠菩薩問品》에 관해서 치밀한 분석 작업을 거치지 않은 것을 보면, 이미 원측 당시에 보리류지의 번역은 그다지 이용되지 않았던 것 같다. - vyākhyā의 주석방식은 世親의 《釋軌論》에 충실하게 따르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vyākhyā는 중국 연원의 주석서가 아니라 오히려 인도 연원의 주석서일 개연성이 높기 때문에, vyākhyā의 작자를 보리류지로 상정하는 것은 힘들 가능성이 높다. |
||
참고문헌 |
전체 연구결과 요약 | |
---|---|
세부과제별 요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