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성격 재조명 및 절차 역주(AKS인문총서 22)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 책표지

지 음
김종명
발행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발행일
2018. 7. 30.
정 가
16,000원
쪽 수
252쪽
판 형
신국판
분 류
고려시대, AKS인문총서
ISBN
979-11-5866-291-2 (94910)

도서 소개

고려시대는 한국 역사상 불교와 불교의례가 가장 성행한 시대였고, 중국과 일본에 비해서도 유례가 없을 정도로 다양한 종류의 불교의례를 여러 차례, 대규모로 개최했다. 이 책은 고려의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의 성격을 재조명하고, 『고려사(高麗史)』 「가례잡의(嘉禮雜儀)」에 기록되어 있는 두 의례의 절차를 역주했다.

고려의 불교의례는 시기적으로 정규의례와 특설의례로 구분되며, 다시 정규의례는 국가의례 및 개인의례로 구분된다. 이 책에서 다루는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는 고려의 대표적인 정규의례이다. 상원연등회는 정월 보름이나 2월 보름에 연등했던 불교의례이고, 중동팔관회는 고려의 수도 개경에서 중동(仲冬)인 11월 보름에 개최되었던 불교의례이다.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가 왕실의례임을 여러 근거를 바탕으로 역설한 이 책은 고려시대 불교의례에 대한 이해를 확장·심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이 책의 역주 부분 가운데 주석은 용어 설명 중심이었던 선행 역주서와는 달리, 연구사 위주를 지향했다. 이 점은 국내 학계에 새로운 역주의 내용과 방법론을 제시할 것이다.

의례는 인류의 대부분의 행위가 의례화되어 있기 때문에 인류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공통분모일 뿐 아니라 이를 통해 당대인의 삶의 모습을 밝힐 수 있다. 의례 연구는 최근 세계 학계에서 연구 분야로서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그동안 세계 학계에서 불교의례, 특히 한국 불교의례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그러한 가운데 고려시대의 불교의례를 다룬 이 책은 한국학의 세계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지은이 소개

김종명 : 서울대학교에서 유가공학 전공으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에서 한국학으로 석사과정을 수료한 후, 미국 UCLA에서 한국학·불교학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불교의례를 포함한 불교문화, 불교와 국가, 선사상 중심의 한국 불교학과 해외 한국학을 연구해오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한국연구재단 학술지평가위원,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부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외한국학연구소 창립소장직, 고전학연구소 소장직을 역임하고 청호불교복지대상(학술 부문), 불이상(학술 부문)을 수상했으며,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에 수차례 등재되었다. 저서로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한국학술정보, 2013), 『한국의 세계불교유산』(집문당, 2008), 『한국 중세의 불교의례』(문학과지성사, 2001), Korean Religions in Relation(공저, SUNY Press, 2016), Zen Buddhist Rhetoric in China, Korea, and Japan(공저, Brill, 2012), Makers of Modern Korean Buddhism(공저, SUNY Press, 2010), Buddhism: Introducing the Buddhist Experience(공저,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Traditions and Traditional Theories(공저, LIT Verlag, 2006), Korea and Globalization(공저, RoutledgeCurzon, 2002) 등이 있고, Korean Studies, Korea Journal을 비롯한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다. 역서로는 『북종과 초기 선불교의 형성』(민족사, 2018), 『중국과 한국의 선사상 형성』(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파란 눈 스님의 한국선 수행기』(예문서원, 1999)가 있다.

차례

고려 불교의례 연구의 이해
제1부 고려 불교의례의 성격 재조명
1장 상원연등회의 성격 재조명
2장 중동팔관회의 성격 재조명
3장 『고려사』 및 「예지」의 한계성
4장 종합 분석
5장 맺음말
제2부 「상원연등회의」와 「중동팔관회의」 역주
1장 「상원연등회의」 역주
2장 「중동팔관회의」 역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