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문화 정체성과 종교(AKS사회총서10)

지 음
조현범·박미라·이상훈·고병철·판카즈 모한·강돈구
발행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발행일
2016. 12. 30.
정 가
14,000원
쪽 수
244쪽
판 형
신국판
분 류
종교, AKS사회총서
ISBN
979-11-5866-156-4 (94200)

도서 소개

2016년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중 개신교인은 19.7%, 불교인은 15.5%, 천주교인은 7.9%이다. 우리나라는 불교·천주교·개신교·민족종교 외에도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종교가 활동하고 있는 나라로, 가히 ‘종교박물관’이라고 할 만하다. 또한 동양 종교와 서양 종교가 거의 같은 세력을 유지하고 혼재해 있는 세계 유일의 나라이기도 하다. 이 책 「문화 정체성과 종교」는 이렇게 우리나라에서 공존해온 다양한 종교가 문화 정체성이 형성되는 데 어떠한 역할을 했고, 현대 한국 사회가 봉착한 문화적 혼란과 관련하여 문화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폈다.

문화란 인간 집단의 생활양식 및 가치 체계의 총체를 구성하고, 소속 구성원들의 세계관·행동 패턴·삶의 의미를 규정하는 핵심 기제이다. 또한 문화는 민족·국가·지역, 그리고 다양한 사회 영역에 따라서 그 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되고 학습을 통해 축적·전승되며 역사를 통과하면서 변화와 생성의 과정을 거친다. 그 과정에서 집단 구성원들이 정체성을 수립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 따라서 문화를 통해 형성되는 집단 정체성은 끊임없이 수정과 재확립의 과정을 거친다.

한편, 종교는 인류 역사의 오랜 시기부터 다양한 문화적 실천 가운데서도 가장 높은 층위의 가치관과 집단의식을 형성하는 역할을 했다. 특히 민족과 국가 단위의 문화 정체성은 그 구성원들이 역사적 과정을 통해 받아들이고 변형시킨 다양한 종교적 경험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의 문화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토착 종교·불교·유교·천주교·개신교·원불교 등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동안 문화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주로 개별 종교의 역사적 전통이나 교리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한국 문화의 민족적 정체성을 다뤄왔다면, 이 책은 종교적 갈등과 통합의 대극적인 작용 속에서 문화 정체성을 파악했다. 즉, 각각의 종교가 역사적 시기에 문화 갈등을 해소하고 통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와 문화 통합을 해체하고 갈등을 증폭시키는 기제로 작동한 경우 모두에 주목했다. 또한 이 책은 그동안 불교와 유교에 비해 연구가 적었던 개신교와 천주교까지 포함하여 이들 종교가 한국 사회 전반과 문화 정체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주제의 연구로 이루어져 있다. ‘문화 정체성과 유교’, ‘문화 정체성과 천주교’, ‘문화 정체성과 개신교’, ‘문화 정체성과 원불교’, ‘문화 정체성과 불교’, ‘문화 정체성과 한국 종교’ 등이다.

지은이 소개

조현범: 종교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화예술학부 조교수. 『조선의 선교사, 선교사의 조선』(한국교회사연구소, 2008), 『문명과 야만: 타자의 시선으로 본 19세기 조선』(책세상, 2002) 등의 저서가 있다.

박미라: 종교학 전공,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연구원. 『유교와 종교학』(공저,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2), 『담론의 공간으로서 동아시아』(공저, 역락, 2010) 등의 저서가 있다.

이상훈: 역사신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글로벌한국학부 교수. 『우리에게 민족은 무엇인가』(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0), 『인간 본성에 관한 신학적 사고』(쿰란출판사, 2007), 『신학적 문화비평, 어떻게 할 것인가』(예영커뮤니케이션, 2005) 등의 저서가 있다.

고병철: 종교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종교교과교육과 종교교과교재론』(박문사, 2014), 『한국 중등학교의 종교교과교육론』(박문사, 2012), 『일제하 재만한인의 종교운동』(국학자료원, 2009) 등의 저서가 있다.

판카즈 모한: 동아시아학 전공, 前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국제학부 교수. 「서양 학계의 한국 고대불교사 연구」(2011), 「2천 년을 잇는 진리의 보편성」(2011), 「6세기 신라에서의 왕권과 불교 간의 관계」(2004) 등의 논문이 있다.

강돈구: 한국종교·신종교·종교이론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종교이론과 한국종교』(박문사, 2011),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집문당, 1992) 등의 저서가 있다.

차례

책머리에

문화 정체성과 유교_박미라

문화 정체성과 천주교_조현범

문화 정체성과 개신교_이상훈

문화 정체성과 원불교_고병철

문화 정체성과 불교_판카즈 모한

문화 정체성과 한국 종교_강돈구